제사상 차리는 방법 제사와 차례의 다른점

제사상 차리는 방법 제사와 차례의 다른점

명절 제사차례상 차리는 법 먼저 제사상 맨 위에 놓이는 자리는 영혼의 자리라는 뜻으로 신위라 불리며 제사상의 방향은 북쪽을 향하게 합니다. 신위로 가장 가까워지는 줄이 1열, 그 다음부터 2열 3열 4열 5열로 진솔하게 됩니다. 제사상 차리는 과정 1열 식사류로 수저,밥,국,술잔,시접과 편, 송편 등 놓습니다. 2열 주요리로 육전,육적,소적,어적,어전 등 구이와 전을 놓습니다. 3열 부요리로 육탕,소탕,어탕 등 놓고 촛대도 같은 열에 둡니다.

4열 밑반찬류로 포, 삼색나물,간장,침채,식혜 등 놓습니다.


지방 작성하는 법
지방 작성하는 법

지방 작성하는 법

흰백지 위에 붓으로 씁니다. 지방의 규격은 폭이 6cm정도 길이가 22cm정도가 좋으며 특히 한지를 사용합니다. 고위할아버지위를 왼편에 쓰고 바위할머니위를 오른쪽에 씁니다. 한분만 돌아가셨을 경우 돌아가신분만 중앙에 씁니다. 아내의 지방에는 현자를 고자로 고쳐 쓰고 동생이하 비유에는 망자로 고쳐 씁니다. 자식의 지방에 미혼시에는 수재라 쓰고 기혼을 경우 학생이라 씁니다.

간소화된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
간소화된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

간소화된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

추석 차례상의 기본은 송편, 나물, 구이적, 김치, 과일4가지과 술을 포함하여 9가지라고 합니다. 추가로 조금 더 상에 올린다고 한다면 가족들과 서로 합의하여 결정하며, 육류나 생선, 떡 등 추가로 놓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을 하시겠지만, 매너 근본정신을 다루고 있는 유학경전 예기의 악기에 따르면 큰 예법은 간략한다는 말씀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내용을 비추어 봤을 때, 조상을 기리는 마음에 있어서 준비하는 정성이 소중한 것이지 음식의 가짓수에 있지 않음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간소화된 추석 차례상이 더욱 보기 좋아 보이기도 합니다.

제사 및 차례상 식품 종류

대한민국의 제사 및 차례상의 식품 종류는 지역별 그리고 집집마다. 아주 다양하며, 조리방식도 개별적으로 다릅니다. 제사 및 차례는 다소 10가지로 나눠볼 수있습니다. 밥, 국, 떡, 탕, 전, 적, 나물, 김치, 과일, 포를 기본적인 음식으로 볼수 있습니다. 제사 및 차례상에 상승하는 밥은 밥그릇에 수북이 담으며 고봉 즉, 평평하게 담지 않고 볼록한 형태를 만들어 담습니다. 밥을 대신해서 지역마다. 혹은 제사 형식에 따라 떡이나 빵을 대신할 수도 있습니다.

국은 대체로 소고기와 무등 넣어 탕국을 끓입니다. 모든 제사 및 차례상에는 고춧가루와 마늘은 귀신을 쫓아내는 향신료라 하여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떡은 아주 다양합니다. 백설기, 송편, 고사떡 등 아주 다양그러나 제사 및 차례에는 아름답고 떡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사 때 올리는 밥을 말합니다. 반, 제자 혹은 제찬이라고도 부르며, 흰쌀밥을 주발에 소복하게 담습니다. 설 차례상에는 밥 대신 떡국을 올립니다. 제사때 쓰이는 국을 갱이라고 부릅니다. 메탕 혹은 반탕이라고도 부릅니다. 보통 쇠고기, 무, 다시마를 넣고 맑게 끓여 국간장으로으로 간을 하고 갱기나 탕기에 담습니다. 추석 차례상에는 국을 생략하기도 합니다. 탕도 앞서 설명한 국과 같이 국물을 우려낸 제사용 음식을 말합니다.

다만, 앞서 설명한 갱은 밥 옆에 두는 국이기 때문에 국물까지 담아 밥 옆에 올리는 반면, 탕은 건더기만 건져 담아냅니다. 제사에는 보통 삼탕을 올리는데, 삼탕이란 육탕쇠고기탕과 어탕해산 물탕, 소탕두부탕 세 가지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육탕을 제사에 이용하는데요. 소의 여러 부위쇠머리사골도가니양지머리내장 등를 함께 섞거나 전적으로 푹 끓여 만듭니다. 편은 떡을 말합니다.

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기제사는 해마다. 목숨을 잃은 고인이 죽은 날 닭이 울기 전에 지내는 제사입니다. 목숨을 잃은 날을 기일이라고 하고 목숨을 잃은 후 1년 뒤부터 연마다 같은 날 지내는 제사가 기제이고, 이를 제사라고 부릅니다. 차례는 달이나 계절, 해가 바뀌어 새로운 계절이 찾아 왔음을 조상에게 알리면서 계절음식과 명절 음식을 올리는 의례입니다. 명절에 조상께 먼저 음식을 올려서 맛보게 한다는 뜻으로 다음 해에도 조상의 음덕으로 넉넉한 수확이 보장된다고 믿어 올리는 의례입니다.

합문 유식후 조상신들이 식품 드시라고 문을 닫고 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계문은 합문의 질문 반대입니다.

항상 묻는 질문

지방 작성하는 법

흰백지 위에 붓으로 씁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간소화된 추석 차례상 차리는

추석 차례상의 기본은 송편, 나물, 구이적, 김치, 과일4가지과 술을 포함하여 9가지라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제사 및 차례상 식품 종류

대한민국의 제사 및 차례상의 식품 종류는 지역별 그리고 집집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